1. 버스형 토폴로지

1. 장점

- 소규모 노트워크를 매우 낮은 비용으로 구성

- 연결할 노드의 수 제한이 없고 확장 용이

2. 단점

- 단일케이블 손상시 전체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하는 단일 실패지점(SPF:Single Point Failure)문제가 있다.

- 연결한 노드가 많아지면 네트워크 효율성이 저하,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다.

 

2. 스타형 토폴로지

1. 장점

- 네트워크 구현 및 장치추가가 쉬움

- 개별 장치노드가 손상되어도 나머지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

- 중앙 집중식 관리, 오류감지 및 문제해결 용이

2. 단점

- 중앙의 허브가고장 나면, 전체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.

- 전체네트워크의 성능이 중앙 허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.

 

3. 링형 토폴로지

1. 장점

- 모든 장치들이 순차적으로 토큰을 보유하여 충돌없이 데이터 전송을 할 기회를 획득

- 과도한 데이터 트래픽상황에서 버스형 토폴로지보다 효과적이다

- 장치간 연결을 관리할 중앙장치가 필요 없다.

2. 단점

- 장치 중 하나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전체네트워크에 영향이 있으므로 이중 링구조를 사용하거나 결함 장치를 격리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.

- 장치를 추가 하거나 변경할 경우 네트워크를 멈추고 재설정 하여야 한다,

- 데이터 전송은 목적지 장치까지의 경로상에 위치하는 모든 장치를 경유해야 하므로 네트워크상의 노드들의 수에 비례하여 통신지연현상이 증가한다.

 

 

4. 메시 토폴로지(그림의 Fully conected)

1.장점

- 회선 오류발생시에도, 서로 연결을 공유하는 두 장치에만 영향이 미친다.

- 데이터는 동시에 여러 장비로 전송가능하며, 높은 트래픽을 견딜 수 있다.

- 노드 확장이나 변경 시 에 다른 노드들을 중단하지 않고 수행 가능 하다.

2.단점

- 네트워크 구축에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. 케이블로 인해 수용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.

- 모든 장치가 상호연결되기 때문에, 설치 및 재연결이 까다롭다.

 

5. 트리형 토폴로지

1. 장점

- 확장이 쉽다.

- 계층적 레벨구조는 고장식별 및 격리에 대한 관리를 보다 쉽게 만든다.

2. 단점

- 네트워크를 확장할 경우 유지 보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.

반응형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IPv4  (0) 2014.09.15
무선랜 유형  (0) 2014.09.15
UTM Astaro install  (0) 2014.09.15
Layer별 네트워크 장비  (0) 2014.09.15
OSI 7 Layer & TCP/IP Model  (0) 2014.09.15